김수정
직위(직급)
교수
전화번호
063-270-3255
이메일
kimsoojung@jbnu.ac.kr
사이트
담당과목
정보자료조직론, 정보활용교육, 기록관리개론, 기록정보서비스론

학력

2007. 8. University of Maryland, Ph.D. in information Science

1998. 8.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

1996. 2.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학사

경력

2012. 2. ~ 현재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3. 12. ~ 현재 행정안전부 정보공개위원회 위원

2024. 1. ~ 현재 한국정보관리학회 부회장

2012. 8. ~ 현재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분류위원심의회 의원

연구업적

이지원, 고보경, 김수정 (2024).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체험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7(2), 79-107.

강변구, 김수정 (2024). 과거사 기록을 활용한 내러티브 콘텐츠 개발 연구: 진실화해위원회 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7(1), 1-30.

김규환, 김수정, 정대근 (2024). 국내 유통 전자출판물의 납본 및 수집을 위한 데이터 요구사항 및 품질 검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5(1), 127-148.

김규환, 정대근, 김수정 (2023). 국내 전자출판물의 납본·수집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54(4), 281-306.

김현태, 이정은, 이슬비, 김건, 김수정 (2023). 영화 효과음원 온라인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K-Sound Library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3(2), 49-68.

이정민, 김수정 (2023). 국가기록원 어린이 교육용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6(1), 5-23.

이종욱, 김수정, 오상희 (2023).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및 학술행사 인식 연구 -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7(1), 365-386.

Sue Yeon Syn & Soojung Kim (2022). Characterizing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RDM) practices of NIH biomedical researchers indicates the need for better support at laboratory level. Health Information and Libraries Journal, 39(4), 347-356.

김수정, 이종욱, 정인영, 오상희. (2022)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및 학술행사 인식 연구 -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3(4), 319 - 345.

김혜미, 김수정 (2022). 초등학교 교사의 그림책 접근점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3(1), 233-258.

이종욱, 김수정 (2022). 정보학의 이해. 청람. (202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이지원, 이재윤, 김수정 (2022). KCI와 RISS의 학술정보 항목 비교 분석.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5(2), 47-68.

김수정, 이재윤, 이지원. (2021). 대학도서관 연구성과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모형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8(3), 287-309.

Soojung Kim & Sue Yeon Syn (2021).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a library's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the case of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Library.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109(3), 450-458.

김현정, 김수정. (2021). 지방경찰청의 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부산지방경찰청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8, 73-105.

이재윤, 이지원, 김수정 (2020). 해외 계량서지 서비스 유형 및 사례 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7(4). 225-253.

황성욱, 정예용, 김수정, 오효정 (2020). 공공데이터포털 이용 활성화를 위한 SNS 운용현황 및 개선방안. 정보관리학회지, 37(2), 23-45.

Soojung Kim, Hong Huang, JungWon Yoon. (2020). A Profile of Non-Seekers of Health Information Among the United States Foreign-Born Population. J Inf Sci Theory Pract, 8(1), 68-78.

오상희, 김수정, 이종욱 (2020). 미국 문헌정보학 분야 대학원의 메이커스페이스 교과목 내용 분석. 사회과학연구, 31(1), 263-278.

김수정, 오상희, 이종욱 (2019).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의 운영 경험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0(4), 249-272.

박태연, 김수정, 오효정 (2019). 재난안전정보 패싯 분류체계의 실증적 검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9(3), 85-95.

JungWon Yoon, Natalie Taylor, Soojung Kim (2018). Information needs of Korean immigrant mothers in the United States for their children’s college preparation.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6(4), 54-64.

Sanghee Oh, Soojung Kim (2018). Health-related courses’ topics and contents of ALA-accredit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s.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4), 69-89.

정힘찬, 김수정 (2018).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국가기록원 계속교육 전이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3), 71-95.

김은총, 김수정 (2017). 지역방송국 기록관리 현황과 개선 방안. 정보관리학회지, 34(4), 293-320.

임지훈, 박태연, 김수정 (2017). 재난안전정보의 통합관리 및 공동활용을 위한 패싯 분류체계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4), 375-395.

박태연, 한희정, 김용, 김수정 (2017). 재난안전정보의 통합 관리를 위한 분류체계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125-150.

Yoon, J., Huang, H. &Kim, S. (2017). Trends in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ur in the U.S. foreign-born population based on the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 2005 – 2014. Information Research, 22(3), paper 760. Retrieved from http://InformationR.net/ir/22-3/paper760.html

장효정, 김수정. (2017). 학교역사관 기록물 관리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J교육청 학교역사관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제53호. 161-200.

임지훈, 오효정, 김수정. (2017).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기록학연구, 51, 175-208.

Soojung Kim &Ji Won Lee. (2016). Developing a digital library model for virtual universities in Korea: Current state and prospective model. Information Development, 32(4), 1228-1239.

Ji Won Lee &Soojung Kim. (2016). A document delivery service for foreign scholarly journals: the experiences of South Korea. Interlending &Document Supply, 44(2), 72 – 76.

김수정, 이지원. (2016). 대학도서관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실태 분석: A와 B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4), 167-190.

이재윤, 김수정. (2016). 국내 재난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4), 103-124.

형은영, 김수정. (2016). 공공도서관 영유아실 자료조직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3(3), 85-106.

유현경, 김수정. (2016).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7(1), 95-130.

성은혜, 김수정. (2015). LibQUAL+를 적용한 어린이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4), 29-53.

김수정. (2015). 문헌정보학 분야 정보활용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 207-239.

오유진, 한희정, 육혜인, 김수정. (2015). 기록사랑마을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I군 기록사랑마을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2), 7-30

윤은하, 김수정. (2015). 기록연구사의 정보공개청구업무 및 업무 환경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1), 7-28.

김용, 김수정, 장준갑 (역). (2015). 아카이브 원리와 실제. 전주: 가람.

Sanghee Oh &Soojung Kim. (2014). College students’ use of social media for health in the USA and Korea. Information Research, 19(4). paper 643. [Available at: http://InformationR.net/ir/19-4/paper643.html]

JungWon Yoon &Soojung Kim. (2014). Internet use by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in the USA seeking health information. Aslib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66(2). 117-133.

김수정, 윤은하.(2014). 식생활교육 디지털 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323-344.
장지원, 김수정.(2014). 스포츠경기 영상기록물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4), 29-57.

김두리, 김수정.(2014). 대학기록관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J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4), 29-47.

김건, 김수정, 윤은하, 한희정. (2013). 국내 기록정보서비스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99-229

이지원, 김수정 (2013). 사이버대학 디지털도서관 현황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79-102.

김수정 (2013). KDC 제6판 디자인학 분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3), 53-72.

김수정, 김용.(2013). 무형문화유산 기록물을 위한 FRBR 기반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30(2), 119-141.

김수정, 오상희 (2012).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건강정보 추구행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4), 83-99.

김수정 (2012). 미국 대학 도서관에서의 웹 2.0 어플리케이션 확산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19-33.

김수정 (2012). 대학도서관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4), 165-189.

김수정 (2012).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건강정보 요구와 추구행태에 대한 탐험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239-260.

Soojung Kim, JungWon Yoon. (2012). The use of an online forum for married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Research, 17(2). paper 514. [Available at http://informationr.net/ir/17-2/paper514.html]

Soojung Kim. (2012). Research trends of the credibility of information in social Q&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2), 135-154.

Soojung Kim &Elizabeth DeCoster. (2011). Organizational schemes of information resources in top 50 academic business library website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7(2), 137-144.

Soojung Kim. (2010). Answerers’ strategies to provide credible information in question answering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2), 21-35.

Soojung Kim. (2010). Questioners’ credibility judgments of answers in a social question and answer site. Information Research, 15(1), paper 432. [Available at http://InformationR.net/ir/15-2/paper432.html]

Soojung Kim. (2009). The effect of clients’ tasks on librarians’ database selection: Extending the task-based information searching research into the business domain. VDM Verlag: Saarbrucken.

Soojung Kim &Sanghee Oh. (2009). Users’ relevance criteria for evaluating answers in a social Q&A sit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4), 716-727.

Soojung Kim. (2009). Learning from experts: Collection development in business. Collection Building, 28(2), 62-67.

Eileen G. Abels, Marilyn D. White, &Soojung Kim. (2007). Developing subject-related Web sites collaboratively: The Virtual Business Information Center (VBIC).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3(1), 27-40.

김수정. (1999). 지식관리의 분석과 사서의 역할. 국회도서관보, 36(3), 51-68.